기후 3대 요소(기온, 기습, 기류, 강수, CLO, DI, 비교 습도, 백엽상, 쾌감 습도, 건구 온도, 습구 온도, 카타 온도계, 흑구 온도계, 열전도 복사계, 감각 온도, 최적 온도, 불쾌지수, 풍토병, 계절병, 기상병, 냉방병)
기후 구성 요소에는 기온, 강수, 바람, 일사, 습도, 구름량, 일조, 증발량, 강수량이 있으며 기후 3대 요소는 기온, 기습(강수), 기류(바람)이다.
▣ 온열 요소
◎ 기온 : 대기의 온도. 지상 1.5m 높이에서 주위의 복사온도를 배제하여 백엽상 안에서 측정한 온도
◎ 기습(비교 습도) : 공기 1㎥가 포화상태에서 함유할 수 있는 수증기량과 현재 공기 속에 함유해 있는 수증기량의 백분율
◎ 습도 : 태양열을 흡수하여 대지의 과열을 방지
◎ 쾌감 습도 : 대체로 40~60%의 기습이 인체에 쾌적감을 줌
◎ 기습차 : 비교 습도는 건구 온도와 습구 온도로 측정
◎ 기류 : 바람을 의미. 실내 기류 측정 도구인 카타 온도계가 있음
◎ 복사열 : 태양의 적외선에 의한 열로 태양에너지의 약 50%를 차지. 측정도구는 흑구 온도계, 열전도복사계 등이 있음
▣ 온열 지수
◎ 감각 온도 : 실효 온도, 유효 온도라고도함. 기온, 기습, 기류의 요소를 종합한 체감온도로 야글루와 밀러가 고안함
◎ 최적 온도 : 지적 온도라 고도함. 체온조절에 있어서 가장 적절한 온도, 즉 이상적 온열 조건을 말하는데 이는 작업의 강도, 계절, 성, 연령, 의복, 음식에 따라 달라짐
◎ 불쾌지수(Discomfort Index, DI)
º 불쾌지수란 기온과 기습에 따라 사람이 느끼는 불쾌감의 정도를 수치로 나타낸 것
º 불쾌지수의 범위는 한국에서 7~8월에 불쾌지수가 가장 높이 올라가는데 일반적으로 80을 전후한 수치를 나타내며 특히 장마철에는 83~84 정도 나타남
▷ DI ≥ 70 일 때 10% 사람이 불쾌감 호소
▷ DI ≥ 75 일 때 50% 이상의 사람이 불쾌감 호소
▷ DI ≥ 80 일 때 거의 모든 사람이 불쾌감 호소
▷ DI ≥ 86 일 때 견딜 수 없는 상태
기후 특성에 따른 질병은 풍토병, 계절병, 기상병으로 분류될 수 있음
- 풍토병 : 어느 지역에 기후에 수반하여 그 지역에만 주로 발병하는 질병 예) 우리나라의 간디스토마, 아프리카와 남아메리카의 말라리아·황열·뎅기열·중동과 아프리카의 지카 바이러스
- 계절병 : 계절의 변화에 따라 주로 발병하는 질병 예) 홍역(봄), 장티푸스(여름), 심장 및 순환기 질환(겨울)
- 기상병 : 기후 상태에 따라 질병이 발생하거나 기존 질병의 증상이 악화되는 것 예) 신경통, 류머티즘, 천식, 폐렴, 간질, 비출혈, 협심증, 심근경색, 감기 등
☆ CLO : 의복의 보온력 단위. 평균 피부온도가 33.3℃로 유지
☆ 냉방병의 증상 : 감기, 위장장애, 요통, 소변 배설량의 증가
☆ 여름철 냉방 시 실내외의 온도차 : 5~8℃가 적합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