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진마스크·송풍 마스크·산소마스크·방독마스크·국소배기·유해물질 희석·밀폐·격리·원격조정·개인보호구·전기흡착식 페인트·벤젠·톨루엔·크실렌·흄(fume)·방음벽·직업병·산업재해·산업 피로·물질대체·공정 대체·작업방법 대체·작업환경관리
'작업환경관리'는 근로자들이 작업을 수행하고 근무를 하고 있는 장소에 대한 환경관리로써 직업병 예방, 산업재해 예방, 산업 피로 억제, 인간의 건강 보호에 그 목적을 두고 있다.
● 유해 요소에 대한 관리 방법
⊙ 대치(대체) 또는 제거
- 덜 유해하거나 덜 위험한 물질을 대신 사용하는 것
- 예) 벤젠이라는 유기용제 대신에 덜 유독한 톨루엔이나 크실렌을 사용
- 일반적인 경우 : 물질대체, 공정 대체, 설비 대체(가연성 물질을 유리병 대신 철제 통에 저장, 벤젠을 이용한 세척 공정을 수동에서 자동으로 교체)
- 일부 : 물질대체, 공정 대체, 작업방법 대체(페인트 작업을 분무식에서 전기흡착식으로 함)
⊙ 작업 공정의 밀폐와 격리
- 작업자와 유해 인자 사이에 장벽이 놓여 있는 상태
- 예) 인화물질이 든 탱크와 탱크 사이에 도랑을 파서 제방을 쌓음
- 장벽 : 시간, 공간, 물제, 자동시설 설치에 의한 원격조정 등
- 최후 수단인 보호구 착용도 소극적 개념에서 격리에 포함
- 작업 환경에 오염되는 것을 피하기 위한 감시창 설치 및 소음원에 대한 방음벽 처리
⊙ 유해물질의 희석 및 실내 환기
- 환기 방식 : 유해물질을 외부로 배출하는 것으로 방식에 따라 국소 및 전체 환기 방식으로 구분
- 국소 배기 : 공정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방법 예) 작업장 후드 설치
⊙ 개인보호구의 사용
- 개인 보호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근로자의 교육과 훈련이 필수적
▶ 보호구의 종류
- 방진마스크 : 공기 중에 떠 있는 입자, 먼지나 흄(fume), 안개와 같은 액체 입자의 흡인을 막기 위한 경우
- 송풍 마스크, 산소마스크 : 산소가 결핍되어 있거나 유해물질의 농도가 높은 경우
- 방독마스크 : 유해가스를 막기 위한 경우
※ 산업재해 정의 및 현황
- 산업재해의 정의 : 산업장 근로자가 업무 도중 원하지도 않고 계획하지도 않은 사건으로 인명 손상, 상해 및 경제적 손실이 일어나는 것
- 재해 발생 : 시간별로 보면 하루 노동시간 중 시작 후 2~3시간과 작업 종료 가까이에서 많고, 주일을 보면 월요일, 금요일이 많으며, 한해로 보면 아주 더운 계절과 겨울에 많음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