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사회 간호활동(가정방문·노인장기요양보험법·간호조무사·보건교육·가정환경·감염 방지·신생아·미숙아·비전염성 환자·급성 질환·방문간호·재가급여·장기요양요원)
가정방문은 지역사회 간호활동 중 간호 대상자에게 가장 효과가 크며 방문 간호조무사의 자격은 노인장기요양보험법에서 3년 이상의 간호보조업무 경력이 있는 자로 규정하고 있다.
º 가정방문의 궁극적 목적 : 가족을 단위로 한 건강관리에 그 목적이 있으며 보건사업 중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음
▣ 가정방문 시 간호조무사
- 가정방문 전 가족의 건강 기록지를 읽음
- 간호조무사의 가정방문 목적 : 가족의 상태 파악, 환자의 가정간호, 보건교육, 환경위생 개선 지도 등
- 간호조무사는 가정방문 시 가장 먼저 환자를 관찰
- 간호조무사는 가정방문 시 보건간호사의 지시·감독을 받음
▣ 가정방문의 장점
- 포괄적인 간호제공이 가능
- 거동불능자가 건강관리 받기가 쉬움
- 가족의 건강문제를 직접 관찰하므로 문제 파악이 용이
- 가족 실정에 맞는 교육을 할 수 있음
- 가정환경 파악 용이
- 대상자와 관계 형성이 용이
- 자연스런 분위기가 가능
- 가족들의 시간과 경비를 절약
- 직접 접촉에 의해 가족의 새로운 건강문제 확인
▣ 가정방문의 단점
- 같은 경험을 가진 다른 사람과 경험을 나눌 기회가 없음(가장 큰 단점)
- 시간이 많이 소요
- 많은 인력이 필요
- 다른 의료인의 도움을 받기 어려움
▣ 가정방문 우선순위
- 정상 임산부 → 전염성 환자(감염 방지!!!)
- 신생아, 미숙아 → 임산부 → 학령전 아동 → 학동기 아동 → 성병 환자 → 결핵 환자
- 집단 → 개인
- 급성 질환 → 만성 질환
- 비전염성 환자 → 전염성 환자
- 감수성이 높은 연령부터 방문
- 경제 정도나 교육 수준이 낮은 대상자를 먼저 방문
- 신환자 → 구환자
▣ 가정방문 시 관절염으로 거동이 불편한 노인에게 수행할 업무
- 약물 복용을 정확하게 실시하는 확인
- 환자가 호소하는 증상을 경청
- 집 내부구조를 파악하고 가족관계 등의 자원을 파악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방문간호의 재가급여 업무를 하는 장기요양요원의 자격
º 간호사로서 2년 이상의 간호업무 경력이 있는 자
º 간호조무사로서 3년 이상의 간호보조업무 경력이 있고 보건복지부 장관이 지정한 교육기관에서 소정의 교육을 이수한 자
º 치과위생사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