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임산부 주의사항(임신 변비약·섬유소·관장·연화제·이완요법·칼슘·충치·입덧·태반·분만 산욕 합병증·절석위·쇄석위·빈뇨·골반고위·트렌델렌버그·탄력 양말·붕대·크레틴병

by ◐▨※¿┫∮¤Ω 2022. 2. 22.

임산부 주의사항(임신 변비약·섬유소·관장·연화제·이완요법·칼슘·충치·입덧·태반·분만 산욕 합병증·절석위·쇄석위·빈뇨·골반고위·트렌델렌버그·탄력 양말·붕대·크레틴병

 

임산부 주의사항

 

○ 장거리 여행 금지

○ 충분한 단백질 섭취 및 균형 잡힌 식사

○ 적절한 운동(예 : 가벼운 걷기와 산책)과 하지부종 시 다리 높여줌(골반고위=트렌델렌버그)

○ 임신 중의 변비 : 임신 중의 변비는 임신 전반에 걸쳐 흔히 나타나는 질별이 아닌 불편감으로 변비가 심할 경우 증대된 자궁으로 치질을 초래

 

 

▷ 임신 중의 변비 예방법

  • 수분(1일 3,000cc 이상)과 섬유소(야채, 과일)를 충분히 섭취
  • 규칙적인 식사와 배변습관을 기르도록 함
  • 관장, 대변 연화제, 하제(변비약), 미네랄 오일 등 금지
  • 이완요법과 심호흡을 하고 규칙적인 운동 권고

 

○ 속옷은 반드시 면으로 된 것을 입고 자주 세탁하여 갈아입어야 함

○ 태아의 골격 형성과 모체의 치아 보호를 위해 칼슘 섭취

○ 충치는 임신 전에 치료

○ 충분한 수면(하루 8~9시간)과 휴식(낮에 1시간 정도 수면)을 취함

○ 입덧이 심한 임산부는 아침에 일어나기 전 비스킷 같은 마른 음식을 소량 섭취, 수분 섭취(3,000cc 이상)를 권장하고 과식 금지

 

 

○ 모성 사망 : 임신 분만 산욕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을 의미

○ 부인과 환자의 진료를 위한 자세 : 절석위(쇄석위)

 

▷ 임신 말기 시 정맥류의 특징

  • 정맥류는 증대된 자궁이 복부 정맥을 압박하기 때문에 나타남
  • 골반고위(트렌델렌버그 자세)를 2~5분씩 계속해 취해 주며 취침 시 다리를 올려줌
  • 낮에 일할 때 신축성이 있는 탄력 양말이나 붕대를 사용
  • 몸을 조이는 의복을 피하고 가볍게 걷는 운동 권장
  • 다리를 꼬는 자세는 피하고 규칙적인 운동과 따뜻한 물로 좌욕
  • 배변 시 억지로 힘을 주어서는 안 됨
  • 장시간 오래 서 있는 것을 삼가고 굽이 낮은 신발을 신도록 함
  • 다리와 엉덩이를 올린 자세로 쉬는 것이 도움

 

▷ 임신 중 흡연이 태아에게 미치는 영향

  • 모세혈관을 수축시켜 산소의 효율성 저하
  • 비타민과 미네랄 대사 방해
  • 태반 순환 감소로 태아 성장 지연
  • 유산 가능성과 높은 유아기 사망률
  • 언어와 지적 발달의 지체

 

 

○ 의사가 태아 위치 확인을 위해 산모를 복부 촉진법으로 진찰하려 할 때 보조 의료인은 임부를 똑바로 눕히고 무릎을 약간 구부리게 함

○ 엽산은 적혈구 생성을 위해 필요하며 결핍 시 태아의 신경계에 악영향을 미치고 태아 성장을 지연시키기 때문에 충분히 섭취

○ 임신 말기에는 오래 쭈그리고 앉아서 활동하지 말아야 함

○ 손이나 눈 주위에 부종이 있으면 소변 검사 확인

○ 임산부에게 갑상선 호르몬이 결핍될 경우 태아에게 크레틴병이 발생하게 되어 성장이 지연되고 선천성 기형이 초래되기 때문에 주의

 

▷ 임신부 빈뇨

  • 자궁이 커지면서 방광을 압박하기 때문에 소변을 자주 보게 되는 특히 임신 초기와 말기에 심함
  • 만약 단순한 빈뇨가 아니라 소변 시 아프거나 따가운 증세가 있다면 진찰을 받아보아야 함
  • 소변을 자주 본다고 하여 특별히 물 섭취를 제한할 필요는 없으나 되도록 잠들기 전에는 수분 섭취를 하지 않는 것이 좋음
  • 평소의 케겔 운동이 도움됨

 

○ 임신 말기 임신부에게는 나트륨 제한, 임신이 진행되면서 혈액량의 증가로 철분이 특히 더 요구됨

○ 임신부 철분 부족 시에는 살코기, 간, 생선, 달걀노른자 등을 섭취하도록 함

○ 임신 말기 욕조로 이동 시 무게 중심이 변하여 외상의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통목욕 삼감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