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부의 구조 표피 진피 피하조직(지용성 비타민A·D, 접촉성 피부염, 대상포진, 칼라민 로션, 수포성 발진, 스테로이드, 아시클로버, 소양증, 과망간산칼륨, 냉습포, 염증성 피부)
피부는 표피와 진피, 피하조직(피부빝 조직)으로 되어 있으며 보호(방어) 기능, 흡수 기능, 감각기능, 수분 균형유지 등 여러 기능을 가지고 있다.
피부의 기능
- 보호(방어)기능 : 세균이나 이물질 침입을 막고 대부분의 화학물질에 대해서도 저항력을 가지고 있음
- 흡수 기능 : 지용성 비타민 A, D 그리고 스테로이드 호르몬들은 표피와 모공을 통해 흡수가 이루어짐. 즉 비타민 D는 비타민 D2와 비타민 D3의 두 가지 중요한 형태가 있는데 비타민 D2는 효모와 식물스테롤인 에르고스테롤로부터 합성, 비타민 D3는 피부 세포에 있는 7-디하이드콜레스테롤이 햇빛 중의 자외선을 받아 합성
- 감각 기능 : 신경 종말부의 자극에 의해 감각을 느낌
- 수분 균형 유지 : 수분과 전해질의 상실을 막고 피하조직의 건조를 예방
- 체온 조절 기능 : 열을 방사, 전도, 대류의 방법으로 소실시킴
- 배설 기능 : 발한으로 수분과 전해질을 배설
- 지각 기능 : 일반 감각기관의 수용체를 가지고 있어서 외부 자극에 대한 촉각, 온각, 통각, 냉각 등을 느낌
피부계 관련 질환
▣ 접촉성 피부염
- 정의 및 증상 : 비감염성, 염증성 피부 질환으로 피부 발적, 부종, 수포 형성, 소양증 등이 나타남
- 치료와 간호 : 원인 물질과의 접촉 방지, 서늘한 실내 온도 유지, 느슨하고 청결한 의복 상태 유지, 약물요법 예) 칼라민 로션
▣ 대상포진
- 정의 : 신경절을 따라 통증을 통반한 수포성 발진이 나타나는 바이러스성 질환
- 증상 : 통증, 발진, 소양증, 압통, 수포
- 치료와 간호 : 함염증제, 스테로이드제, 아시클로버 사용 (경구용 약 7일간 투약)
※ 소양감을 감소시키기 위한 활동
- 방 안의 온도를 조절, 질환자의 기분을 전환하는 활동을 하게 함
- 손톱과 발톱을 청결히 하고 긁는 것을 막기 위한 목장갑의 사용
- 전분·중조 또는 과망간산칼륨 목욕, 감정적 긴장 해소, 칼라민 로션의 국소 도포, 냉습포 등을 시행
- 신체 주변의 온도 변화에 영향을 많이 받으므로 얇고 가벼운 옷과 침구를 사용
- 긴장, 불안 등은 소양증을 악화시키므로 스트레스를 피하도록 노력
- 커피,홍차, 초콜릿 등에 많이 들어있는 카페인과 술, 콜라 등은 소양증을 악화 시킴
- 스테로이드제의 전신 투여 또는 국소 도포가 염증이나 만성적으로 두꺼워진 피부의 소양증에 효과적
반응형
댓글